본문 바로가기

시민과학

(26)
보통 사람들의 데이터가 세상을 바꾼다: 시민 과학의 역사와 중요성 1. 크리스마스 조류조사에서 시작된 100년의 역사: 시민 과학의 뿌리와 진화오늘날 스마트폰과 함께 급부상한 ‘시민 과학’은 사실 하루아침에 나타난 신조어가 아닙니다. 그 뿌리는 100년도 더 전인 1900년 미국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크리스마스에 행해지던, 재미로 새를 사냥하던 ‘크리스마스 사이드 헌트’라는 전통에 문제의식을 느낀 조류학자 프랭크 채프먼은 살아있는 새의 종류와 개체 수를 기록하는 ‘크리스마스 조류 조사(Christmas Bird Count)’를 제안했습니다. 이 작은 제안에 27명의 조류 애호가가 동참했고, 이들이 기록한 데이터는 북미 조류 생태계의 변화를 추적하는 가장 오래고도 방대한 자료가 되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보통 사람들’의 자발적 참여가 과학적 데이터를 축적한 시민 ..
'시민 과학'이란 무엇인가? 내 스마트폰으로 과학 발전에 기여하는 법 1. 과학, 더 이상 그들만의 리그가 아니다: 보통 사람들의 참여로 완성되는 '시민 과학'우리는 매일 세상을 관찰합니다. 아파트 화단에 작년과 다른 꽃이 핀 것을 발견하고, 출근길에 마주치는 까치의 수가 부쩍 늘었다고 생각하며, 밤하늘의 달이 유난히 밝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이러한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한 호기심과 관찰이, 만약 거대한 과학 연구의 중요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시민 과학(Citizen Science)’은 바로 이 질문에서 시작된, 과학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위대한 흐름입니다. 시민 과학이란, 전문 과학자와 일반 대중이 협력하여 과학 데이터를 수집, 분석, 해석하는 모든 연구 활동을 의미합니다. 더 이상 과학은 하얀 가운을 입은 소수의 전문가가 실험실 안에서만 수행하는 닫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