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7)
밤하늘의 별을 되찾아주세요: 우리 동네 빛 공해 지도 만들기 1. 인공조명이 삼켜버린 밤하늘: '빛 공해'의 정의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언제 마지막으로 밤하늘을 가득 채운 은하수를 보셨습니까? 아마 대부분의 도시인에게 그것은 아득한 기억이거나 책에서나 본 풍경일 것입니다. 인류가 수만 년간 경외의 눈으로 바라보았던 밤하늘의 별들은, 불과 지난 100년 사이에 등장한 ‘인공조명’의 과도한 빛에 의해 우리 시야에서 사라졌습니다. 이처럼 인간이 만든 과도하고 불필요한 빛이 자연환경과 생활에 피해를 주는 현상을 ‘빛 공해(Light Pollution)’라고 합니다. 빛 공해는 단순히 별을 보기 어렵게 만드는 낭만의 문제를 넘어, 우리의 건강과 생태계 전반을 위협하는 심각한 환경 문제입니다. 밤에도 대낮처럼 밝은 도시의 빛(Skyglow)은 인간의 생체 리듬, 특히 수면과..
생태계 교란종을 찾아라! 우리 산과 들을 지키는 외래 식물 조사 1. 초록빛 재앙, 우리 토종 식물을 위협하는 '생태계 교란 식물'의 정체여름날 강변이나 산책길, 혹은 잠시 방치된 공터를 뒤덮은 무성한 녹색 식물들을 보며 우리는 종종 왕성한 생명력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때로는 그 폭발적인 번식력이 우리 고유의 생태계를 조용히 파괴하는 ‘초록빛 재앙’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바로 ‘생태계 교란 식물(Invasive Alien Plant)’의 이야기입니다. 모든 외래 식물이 해로운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생태계 교란 식물은 외국에서 유입되어 우리 땅에 들어온 식물 중에서도, 천적이 없거나 번식력이 지나치게 강해 토종 식물들의 생존을 위협하며 생태계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침략자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햇빛과 수분, 토양의 영양분을 무서운 속도로 독차지하여, 수백, 수천 년간 ..
미세플라스틱 연구, 나도 할 수 있다! 해변에서 시료 채취하는 방법 1. 해변의 모래알 속에 숨은 위협: 미세플라스틱 오염과 시민 과학의 중요성여름날 우리를 반기는 아름다운 해변, 그 반짝이는 모래사장은 사실 눈에 보이지 않는 위협을 품고 있습니다. 바로 5mm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 ‘미세플라스틱’입니다. 화장품에 사용되던 마이크로비즈처럼 처음부터 작게 만들어진 1차 미세플라스틱도 있지만, 대부분은 우리가 버린 페트병, 비닐봉지, 어업용 폐기물 등이 오랜 시간 자외선과 파도에 의해 잘게 부서져 만들어진 2차 미세플라스틱입니다. 이 작은 플라스틱 입자들은 스펀지처럼 바닷속의 유해 화학 물질을 흡착하는 성질이 있으며, 이를 플랑크톤이나 작은 물고기들이 먹이로 오인해 섭취하게 됩니다. 결국 먹이사슬을 통해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최종적으로는 우리의 식탁까지 위협하는 ..
우리 동네 생태계 탐험: '네이처링' 앱으로 식물과 곤충 기록하기 1. 내 손안의 생태 지도, 우리 동네를 탐험하는 시민 과학 플랫폼 '네이처링'우리는 매일 같은 길을 걷고, 같은 공원을 지나치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그 익숙한 풍경 속에 얼마나 다채로운 생명의 이야기가 숨 쉬고 있는지,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아파트 화단의 이름 모를 들꽃, 보도블록 틈새를 뚫고 자라난 작은 식물, 윙윙거리며 날아다니는 곤충들. 이 모든 것은 그저 스쳐 지나가는 배경이 아니라, 우리 동네 생태계를 구성하는 소중한 구성원이자 살아있는 데이터입니다. 시민 과학 플랫폼 ‘네이처링(Naturing)’은 바로 이 익숙한 일상을 경이로운 탐험의 장으로 바꾸어주는 마법 같은 도구입니다. 네이처링은 우리나라의 자연 환경과 사용자에 최적화된, 대한민국 대표 생물 다양성 기록 플랫폼입니다. 그 핵..
세상의 소리를 수집합니다: 도시의 소음과 새소리 녹음 프로젝트 1. 귀를 기울이면 세상이 보인다: 소음, 생물, 자연음이 만드는 '사운드스케이프 생태학'잠시 눈을 감고 지금 당신이 있는 곳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십시오. 자동차 경적 소리, 공사장의 소음, 웅웅거리는 에어컨 실외기 소리 같은 인간이 만들어낸 소리(Anthropophony)가 들려올 것입니다. 그와 동시에 창밖 나뭇가지에 앉은 직박구리의 지저귐, 여름밤을 채우는 귀뚜라미 울음소리 같은 생명체의 소리(Biophony)도 들릴지 모릅니다. 어쩌면 이 모든 소리 너머로 바람이 창문을 스치는 소리나 빗소리 같은 자연의 소리(Geophony)가 배경처럼 깔려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특정 공간을 채우는 모든 소리의 총합을, 과학자들은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 소리 풍경)’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고문서 해독가가 되어보자: 역사 기록물을 디지털화하는 시민 과학 1. 잠자는 역사를 깨우는 손가락: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시민 과학전 세계의 도서관, 박물관, 연구소의 수장고 깊숙한 곳에는 아직 아무도 읽어보지 못한 수백만, 수천만 장의 역사 기록물이 잠들어 있습니다. 잉크가 바랜 편지, 꼼꼼하게 기록된 선박의 항해 일지, 오래된 식물 채집가의 현장 노트, 빛바랜 인구 조사 기록까지. 이 문서들은 과거의 삶과 사건, 그리고 지금은 사라진 자연의 모습을 담고 있는 인류의 소중한 유산이자 거대한 데이터의 보고입니다. 하지만 이 기록들은 대부분 손으로 쓰여 있어, 현대의 검색 엔진으로는 그 내용을 찾아 읽을 수도, 분석할 수도 없습니다. 컴퓨터 광학 문자 인식(OCR) 기술이 발전했지만, 불규칙하고 흘려 쓴 옛날 손글씨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데는 여전히 한계가 있습니다..
집에서 하는 우주 탐사: Zooniverse '갤럭시 주'로 은하 분류하기 1. 수십억 광년 너머의 질문: 인류 최대의 사진첩 '갤럭시 주'의 탄생과 의의서울의 밤하늘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별은 고작 몇천 개에 불과하지만, 이 광활한 우주에는 사실 수천억 개가 넘는 은하(Galaxy)가 존재합니다. 각각의 은하는 수천억 개의 별을 품은 채 저마다의 독특한 모양과 역사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와 같은 현대의 천문 관측 프로젝트는 이러한 은하들의 사진을 하룻밤에도 수만 장씩 촬영해냅니다. 하지만 여기서 과학자들은 거대한 난관에 부딪힙니다. 인공지능이 은하의 밝기나 크기를 측정할 수는 있어도, 나선팔의 미묘한 형태, 중심부 막대의 유무, 다른 은하와 충돌한 흔적 등 복잡하고 비정형적인 패턴을 인식하는 데는 여전히 인간의 눈과 뇌가 훨씬 뛰어났기 때..
Zooniverse 플랫폼 완벽 가이드: 펭귄 개체 수 세기 프로젝트 참여 후기 1. 집에서 떠나는 과학 탐험, 세계 최대 플랫폼 '주니버스'의 매력과 가능성먼지 쌓인 고문서를 해독하기 위해 타임머신을 타거나, 머나먼 은하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우주선에 오를 필요가 없는 시대입니다. 내 방 책상 앞, 단 한 번의 클릭으로 인류의 지식 탐험에 동참할 수 있는 문이 있다면 어떨까요? 세계 최대의 시민 과학 플랫폼 ‘주니버스(Zooniverse)’는 바로 그 문을 활짝 열어주는, 우리 손안의 우주이자 연구소입니다. 주니버스는 옥스퍼드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등 세계 유수의 연구 기관들이 운영하는 웹 기반 플랫폼으로, 천문학, 생물학, 의학, 역사학, 기후 과학 등 분야를 막론하고 수백 가지가 넘는 실제 과학 프로젝트들을 한데 모아 놓았습니다. 이곳의 핵심 철학은 간단명료합니다. 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