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참여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집에서 하는 우주 탐사: Zooniverse '갤럭시 주'로 은하 분류하기 1. 수십억 광년 너머의 질문: 인류 최대의 사진첩 '갤럭시 주'의 탄생과 의의서울의 밤하늘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별은 고작 몇천 개에 불과하지만, 이 광활한 우주에는 사실 수천억 개가 넘는 은하(Galaxy)가 존재합니다. 각각의 은하는 수천억 개의 별을 품은 채 저마다의 독특한 모양과 역사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와 같은 현대의 천문 관측 프로젝트는 이러한 은하들의 사진을 하룻밤에도 수만 장씩 촬영해냅니다. 하지만 여기서 과학자들은 거대한 난관에 부딪힙니다. 인공지능이 은하의 밝기나 크기를 측정할 수는 있어도, 나선팔의 미묘한 형태, 중심부 막대의 유무, 다른 은하와 충돌한 흔적 등 복잡하고 비정형적인 패턴을 인식하는 데는 여전히 인간의 눈과 뇌가 훨씬 뛰어났기 때.. 이전 1 다음